본문 바로가기

블로그에 새 글을 올리지 않습니다.
새로운 글들은 제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해주세요.
카테고리 없음

iPhone SDK를 통해서 본 Ecosystem

 
 
블로그 이전으로 새로 posting
Original posting: 2008년 3월 14일



난 tech 제품이 성공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그 제품을 둘러싼 ecosystem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고 굳게 믿고 있다.  그래서 여기 tech 회사들을 만나면 ecosystem의 중요성을 주구장창 이야기
하곤 한다.  Hardware건 Software건 Website건 제품 하나로 끝나지 않고 그 제품을 축으로 생태계를
이루어야 leading product이 되고 또 오래간다는 것이다. 


Ecosystem을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자유 방임형과 중앙 집권형 두가지가 있다고 본다. 
(참고로 이 두가지 표현은 내가 붙힌 것으로 어디서 인용하는 것은 아님.)

자유 방임형은 제품을 중심으로 ecosystem을 구축하지만, 관리는 그 ecosystem에 있는 player들의
자율에 맡기는 방법이다.  Microsoft가 Windows를 만들지만 Windows를 사용하는 h/w, s/w 등은
시장에 맡겨 놓은게 좋은 예이고, Windows가 OS 시장을 거머쥔 이유도 자유 방임형 ecosystem을
성공적으로 구축해서이다.  YouTube나 Google Map이 다른 website나 h/w가 content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예이다.  (YouTube의 동영상을 자주 사용하는 내 블로그도 YouTube의
ecosystem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자유 방임형 ecosystem의 정도가 심해지면 결국 그게 open
source인 셈이다.


반면 중앙 집권형은 제품을 둘러싼 ecosystem을 구축하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절저히 통제하는
경우이다.  Apple이 iPod을 만들고 iTunes를 통해서 그 안에 들어가는 content를 통제하고 일부 iPod용
악세사리까지 통제하는게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Google이 search 알고리즘을 open하지 않고,
Google 검색을 솔루션으로 이용하려면 돈을 내거나 revenue sharing을 하는 것도 중앙 집권형
ecosystem의 예이다. 



iPhone은 Apple의 다른 제품들처럼 전형적인 중앙 집권형 ecosystem을 구축하고 있으며, 
최근 발표한 iPhone SDK는 이런 Apple의 방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우선 SDK란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자로 XX 제품의 SDK라고 하면 XX 제품에서 사용할 수 있는
application를 개발할 수 있는 software package를 의미한다.  iPhone의 불만 중에 하나가 iPhone에
기본적으로 들어있는 application를 제외하고 다른 application를 다운받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이어서
이번 iPhone SDK의 발표로 이제 온갖 회사에서 이 SDK를 이용해 iPhone용 application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고, iPhone 사용자들은 이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Apple이 이렇게 개발된 application를 관리하는 방법은 중앙 집권형 ecosystem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인다.  우선 개발된 모든 application은 Apple의 승인을 거쳐야한다.  그래서 만일 유해 내용이나
바이러스가 있으면 reject 된다.  또한 승인된 application은 오직 iTunes를 통해서만 판매 / 배포할 수
있다.  개발자가 Application를 판매를 한다면 매출의 30%를 Apple이 가져가고, 무료라면 Apple이
가져가는 돈은 없다. 




위 동영상은 EA에서 iPhone SDK로 개발한 iPhone용 Spore의 데모이다. 
Spore는 EA에서 올해 9월 출시할 게임으로 벌써부터 올해의 game이란 소리를 듣고 있다. 
iPhone용 application이 어떤건지 보여주는 좋은 예인 것 같아서 올린다. 


이번 iPhone SDK 발표에서 또 매우 인상적인 것은 미국의 대표적인 venture capital 회사인
Kleiner Perkins가 iPhone용 application을 만드는 회사들에 $100 million을 투자하는 iFund를
발표한 것이다.  iPhone ecosystem에 기름을 부은 셈이다.


이런걸 보면 Apple이 휴대폰 시장에 뒤늦게 들어 왔지만 참 잘한다는 생각이 든다.  어떤 방법이든 
Apple 이렇게 탄탄한 ecosystem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은 휴대폰 시장에서 오랫 동안 뛰어왔지만
그냥 전화기만 만들어 온 삼성이나 LG같은 한국회사들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 블로그 이전으로 예전 블로그에서 복사해온 글이라 답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