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에 새 글을 올리지 않습니다.
새로운 글들은 제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해주세요.
카테고리 없음

웹 검색의 진화와 미래

이번 블로그에서는 검색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진화하는 웹 검색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쓰고 싶었는데 구글에서 검색과 관련해서 진행된 몇가지 일이 발표된 후에 쓰는게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최근 실시간 검색이나 Google Goggles 등이 발표되었고 이번 블로그에서 그간 진화해온 온라인 검색에 대한 이야기를 써본다. 
 
FYI 1) 참고로 저는 구글 본사에 신규사업제휴 일하고 있고 검색쪽 일을 하는 것은 아님.
FYI 2) 위 사진은 구글 뉴욕 오피스 3층으로 들어가는 문임.  
 
 
 
시작은 Directory Search
상용화된 검색 엔진의 시작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제대로  사용하기 시작한 90년대 중반으로 보면 될 것 같고, 이때의 검색 엔진들은 대부분 디렉토리 기반이었다.  즉 "엔터테인먼트-음악-팝" 이런 식으로 디렉토리가 있어서 해당 디렉토리에 관련된 사이트들이 들어있는 방식이다.  97년에 처음 내 홈페이지를 만들었을때 Lycos같이 당시 잘 나가던 검색엔진에 가서 "개인홈페이지" 디렉토리에 내 홈페이지를 등록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런 디렉토리 기반의 검색 엔진은 금방 그 한계를 드러내는데 그 이유는 디렉토리로 관리하기에는 웹사이트의 수가 너무나 빨리 많아져버린 것이다. 
 
 
 
The Algorithm that Rules the Web
이렇게 무서운 속대로 많아져버린 웹사이트들을 제대로 검색하는데는 알고리즘을 통한 검색이, 즉 기계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가장 적합한 결과를 찾아주는 방식이 더 힘을 발휘하게 된다.  결국 구글이란 회사는 수작업이 아닌 알고리즘을 통한 검색으로 커져만 가는 인터넷에서 확장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고 이를 누구보다 잘 했기에 오늘날의 구글이 될 수 있었다. 
 
 
 
Vertical Search / Universal Search: We Want More! 
인터넷 검색이 발전하면서 나타나게 된 현상 중에 하나가 단순히 웹사이트만을 찾는게 아니라 사진, 쇼핑 등 다양한 종류의 특화된 결과를 찾기 시작했고 이를 보통 vertical search라고 부른다.  그러면서 특정 분야의 검색만을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들도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예를 들면 비행기표만 찾아준다던가 중고차가격만 찾아주는 사이트 등이다.  하지만 독립된 vertical search 사이트들이 (일부 사이트들을 제외하고는) 많이 성장하지 못한 이유는 큰 검색엔진들이 vertical search까지 포함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보통 universal search 혹은 통합검색이라고 부르는데 예를 들어서 구글에서 검색을 하면 이미지, 뉴스, 책 등의 특화된 결과를 별도로 보여주는 것이다.  통합검색을 제일 잘 하는 검색 엔진은 네이버라고 할 수 있는데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지식검색, 카페, 동영상 등 거의 20개에 가까운 종류의 검색이 한 화면에 나온다.  
 
 
 
잠시 다른 이야기지만... 밥상이론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통합검색을 바탕으로 구글과 네이버의 검색 결과를 비교해보면 미국과 한국의 문화 차이를 볼 수 있다.  구글은 딱 필요한 정보를 찾게 해주자라면 네이버는 여러 정보들을 퍼다주자라고 할 수 있는데 이건 같은 검색어를 구글과 네이버에서 찾아보면 쉽게 볼 수 있다.  작년에 우리팀 사람들에게 한국 시장에 대한 발표를 할 일이 있었는데 이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까 생각하다가 "밥상이론"으로 설명한 적이 있다.  미국에서 음식을 시킬때는 햄버거에 토마토는 빼고 피클은 넣어달라고 하면 딱 주문한 햄버거가 나오지만 한국에서 음식을 시킬때 김치찌개를 달라고 하면 김치찌개에 밥과 각종 반찬들이 따로 시키지 않아도 나온다.  이게 두 검색엔진의 차이에서도 너무나 잘 나타나는 것 같다.  
 
 
 
Local Search: Location Location Location 
웹검색은 마치 전화번호부에서 내가 사는 동네에 있는 가게들을 찾아보듯 위치와 관련된 검색으로도 발전했다.   간단하게는 "movie 우편번호"를 치면 그 근처에 있는 극장정보와 상영시간을 보여주는게 좋은 예이고, 구글 맵스와 같은 지도 서비스와 연동되서 더 발전했다.  또한 이제는 IP 주소로 내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위치를 검색엔진에서 알 수 있다보니 이제는 그냥 "movie"라고만 검색해도 내 근처의 극장정보를 보여준다.   
 
지역 검색이 계속 진화하는데 큰 역할을 한 것은 모바일 인터넷의 발전이다.  모바일웹이 발전하면서 제일 적합하게 느껴진 것이 지역 검색인데 내가 지금 서있는 주변을 검색하자는 것으로 예를 들어 "커피"를 모바일폰에서 검색하면 내가 있는 위치를 파악해서 근처에 있는 커피숍을 찾는 것이다.  또한 내 주변에 볼꺼리나 먹거리를 추천해주는 기능도 진화된 지역 검색이라고 할 수 있다. 
 
 
 
Voice Search: Search with Your Voice 
모바일 인터넷과 함께 발전하기 또다른 검색이 음성검색이다.  글이 아닌 음성으로 검색하는 것으로 이제 음성 인식 기술이 많이 발전해서 왠만한 검색어는 잘 알아듣는다.  안드로이드폰에서는 기본적으로 음성검색이 제공되고 아이폰에서도 Google Mobile 앱을 다운받으면 음성으로 쉽게 웹검색을 할 수 있어서 자판을 치기 힘든 상황에서나 자판으로 치기 긴 내용을 검색할때 참 편하다.  최근에 음성 검색의 영역이 영어에서 다른 언어들로 발전하고 있는데 자판입력이 쉽지 않은 중국어같은 언어의 음성검색은 앞으로 가능성이 큰 것 같다.    
 
 
 
Social Search: Information is Social 
소셜 네트워크들이 발전하면서 social search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데 이건 예를 들어 "Harry Potter"를 검색했다고 하면 패이스북이나 트위터같은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내 친구들이 Harry Potter에 대해서 뭐라고 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내 소셜 그룹에 사람들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를 볼 수 있는 검색으로 최근에 개봉한 영화 정보등과 같은 내용은 내 친구들이 뭐라고 하냐가 중요할 수 있기에 앞으로 유용한 역할을 할 것이고 워낙 social network에서 많은 대화들이 일어나기에 검색할 내용도 계속 풍부해질 것이다.  구글이 최근에 발표한 social search의 간단한 데모 동영상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면 된다. 
 
 
 
Real-time Search: What's Happening NOW? 
실시간 검색은 최근에 검색 시장의 큰 화두인데 이건 검색결과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받는 개념으로 검색 결과에 지금 이 순간 가장 화제가 되는 내용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일종의 실시간 속보를 계속해서 보여주는 것으로 주로 뉴스 사이트와 트위터같이 실시간 정보에 빠른 소셜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서 가능한 검색이다.  구글이 이번주에 출시한 real-time search의 간단한 데모 동영상은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고,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 왼쪽에 Updates (실시간)을 클릭하시면 실시간으로 결과가 업데이트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Google Goggles: Just Take a Picture to Search 
이번에 구글이 새롭게 발표한 검색 서비스 중에 가장 화제는 Google Goggles일 것이다.  Google Goggles이란 사진을 찍으면 그 사진을 분석해서 검색을 해주는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책 표지, 와인 레이블, 특정 장소 등을 찍으면 그것에 대한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내부적으로 Google Eye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개발해온 것인데 처음 데모를 보았을 때 정말로 놀란 제품 중에 하나였고 앞으로 모바일폰에서 검색하는 행동을 완전히 바꿀 수도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Google Goggles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여기서 확인바라며, 참고로 Google Goggles는 아직 안드로이드폰에서만 지원된다.  
 
 
 
QR Code: Just Scan It
qrcode
검색과는 조금 다른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요즘은 휴대폰들이 QR 코드 (일종의 바코드)를 읽을 수 있어서 URL이나 연락처같은 정보를 QR 코드로 표시하는 일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구글 맵스는 local businesses들과 이 QR 코드를 "Favorite Places on Google"에 활용하고 있는데 이 동영상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폰같이 QR 코드를 읽을 수 있는 폰을 쓰시는 분이라면 위에 있는 QR 코드를 읽으면 내 홈페이지가 열릴 것이다.  
 
 
 
Fun Search Campaign
마무리를 하면서 재밌는 검색 관련 이벤트를 하나 이야기하면 얼마전에 뉴욕 Times Square에서 구글이 대형 전광판에 검색창을 띄워놓고 지정된 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검색하고 싶은 단어를 이야기하면 저 화면에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최근에 Verizon과 함께 출시한 Motorola의 안드로이드폰인 Droid의 마케팅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한 것이다.  뉴욕에 있는 동안 이걸 직접 안보러 갈 수는 없었다. 
 
 

* 사진과 내용 전체를 복사해서 글을 퍼가지 말아주십시오. 제 글로 링크를 거는 형식으로 퍼가는 것은 대환영입니다.
 
 
 

마치면서 본문 내용과 전혀 상관없는 2가지 내용을 올린다.
 
내가 파트너쉽일을 리드한 Google Chrome Extensions가 300개가 넘는 크고작은 파트너들의 익스텐션과 함께 이번주에 (2009년 12월) 출시되었다.  많은 시간을 쓴 프로젝트를 출시할때처럼 뿌듯한 일도 없는 것 같다.  크롬 쓰시는 분들은 확인해보세요. 
 
 
대학생들에게 강연 후 고맙게도 싸인 받으려고 줄을 선 친구들 :) 이날 뵌 대학생분들 모두 반가웠습니다!